분류 전체보기33 감염병과 전염병의 차이 (코로나 바이러스는 어떤 병일까?) 코로나 바이러스는 감염병인지 전염병인지 둘 중 무엇에 해당하는지에 대해서 궁금하신 적은 없으신가요? 오늘은 감염병과 전염병의 정의와 차이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감염병과 전염병의 차이 간염과 전염을 같은 의미라고 생각하실 수 있는데요, 확실한 차이가 있습니다. 감염은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등처럼 병원체가 내 몸 안으로 들어와 증식하게 되어 몸속에 퍼지는 것을 말합니다. 감염병은 이렇게 감염에 의해 발생하는 질병이라고 할 수 있죠. 반면에 전염은 증식한 병원체가 외부로 나가서 타인의 몸 안으로 옮겨지는 것입니다. 전염병은 전염되어 발생하는 질병인 것입니다. 전염병과 비전염병의 종류 감염병은 한 사람이 감염된 후에 다른 사람에게 옮길 수 있는 전염성 병과 옮겨지지 않는 비전염성 병으로 나누어집니다. .. 2023. 2. 18. 박쥐가 옮길 수 있는 니파 바이러스 (+원인과 증상, 예방법) 오늘은 사람에게 치명적인, 박쥐가 옮기는 병 중인 하나인 니파바이러스 감염증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니파바이러스란? 니파바이러스는 파라믹소바이러스과의 바이러스입니다. 니파라는 이름은 처음 바이러스가 나온 말레이시아의 지역 이름을 따서 만들어지게 된 것입니다. 말레이시아에서 1998년~ 1999년 환자 265명이 감염되어 그중 105명이 사망했다고 합니다. 치명률은 39.6%입니다. 방글라데시에서는 2001년~2008년 환자 135명 중 97명이 사망하여 치명률이 71.9% 되었다고 합니다. 2018년 인도에서는 19명이 감염되었는데 그중 17명이 사망했다고 합니다. 치명률은 89.4%로 정말 높았죠. 2021년에도 소년이 사망하는 사례가 나오는 것처럼 계속해서 이어지고 있다고 합니다. 니파바이러스 감염.. 2023. 2. 17. 파상풍의 원인과 증상 (+예방접종) 녹슨 철물에 찔렸을 때 파상풍에 걸리지 않을까 걱정합니다. 오늘은 제3급 감염병인 파상풍에 대해 파헤쳐보겠습니다. 파상풍과 원인 파상풍은 파상풍균에 감염되어 발생하는 질병입니다. 파상풍균은 아포를 만들 수 있는 세균이라고 합니다. 파상풍균의 한쪽 끝에 아포가 있어 막대사탕의 형태를 띠고 있습니다. 아포는 생존하기 불리한 환경에서 살아남기 위한 것으로 모든 활동을 멈추고 휴면 상태로 있는 형태를 말합니다. 내성이 강해 몇 년 동안 생존이 가능하고 소독제나 높은 온도의 물에서도 어느 정도 견딜 수 있다고 합니다. 파상풍균은 흙이나 먼지 등의 자연과 동물의 장 속에서 발견됩니다. 사람들에게는 상처를 통해 감염이 됩니다. 보통 녹슨 못에 찔리면 파상풍이 걸린다고 많이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녹슨 것에만 파상풍.. 2023. 2. 16. 열이 나는 이유 (+체온 유지 원리와 발열 과정) 바이러스 또는 세균에 감염되었을 경우, 우리 몸에서는 다양한 반응이 일어나게 됩니다. 이 반응 중 가장 특징적인 증상은 열이 나게 되는 것입니다. 열은 어떠한 과정을 겪으면서 발생하는 것일까요? 오늘은 발열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체온유지원리 사람의 체온은 오전 6시에 가장 떨어지고, 오후 4~6시쯤에 가장 올라간다고 합니다. 보통 오전에 37.2도 이상 또는 오후에 37.7도 이상이 된다면 발열 증상이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체온은 머릿속 시상하부의 체온조절중추에 의해 조절이 됩니다. 주위의 온도가 변하면 근육이나 간에서 열이 생산되고 피부나 폐에서 열이 소실되는 형식으로 조절되면서 정상적인 체온으로 유지시켜 주는 것입니다. 발열원인 우리가 발열이 되는 이유는 원인물질인 발열원에 의해 체온조절중추의.. 2023. 2. 15. 이전 1 2 3 4 ··· 9 다음